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소문자를대문자로
- next.js에러
- RTX4070
- 네스트js
- 대문자를소문자로
- 리액트프로젝트생성
- Delete `␍`eslintprettier/prettier
- 네트스제이에스
- error: an invalid controller has been detected.
- nestjs
- typeorm
- NestJSSwagger
- 자바스크립트대소문자
- nestjs에러
- connectionerror
- Connection not yet open
- Entity작성
- API정의서
- next에러
- 갤럭시북3울트라
- 4070
- 갤럭시북3
- monorepolib
- Entity
- react프로젝트생성
- DTO
- monorepo
- 쿼리튜닝기법
- 모노레포
- Can't resolve '@/styles/globals.css'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18)
코드 낭만 제작소

혹시라도 Entity를 작성하지 않았다면 아래링크로 가서 작성 후 아래글을 읽으시길 추천드립니다. 2023.03.15 - [Dev-Code(Back-End)/NestJS] - [NestJS] Entity 작성하기 (feat.TypeORM) DTO는 계층 간의 데이터 이동 객체로 사용된다. 클라이언트에서 보낸 데이터도 DTO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DB에서부터 나온 데이터 역시 DTO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. 예전에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개인적으로 웹페이지를 만들어 보았을 때는 DTO를 모두 정의해야 해서 어렵지는 않지만 꽤 귀찮았던 기억이 있다. 지금 생각해보면 아마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을 텐데 내 실력이 부족했을 것이다. 하지만 이번에 NestJS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면서 ..
Dev-Code(Back-End)/NestJS
2023. 2. 2. 14:55